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456-502 멸-반

 

456. 업신여기다 蔑

초두 머리サ +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땅에서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렸다

밑에서 나오는 것을 지켜보다 즉 내리보다 를 그려

업신여기다 나타냈다

 

457. 업신여기다

마음 심 변 忄+ 초두 머리サ +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땅에서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렸다

밑에서 나오는 것을 지켜보는 마음 그려

업신여기다 나타냈다

 

458. 물 쏟아져 흐르다

물 수 변 氵 + 눈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땅에서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렸다

밑에서 나오는 물을 지켜만 보는 것 그려

물 쏟아져 흐르다 나타냈다

 

459. 눈꼽끼다

눈 目 목 + 초두 머리サ +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나오는 것을 그렸다

눈에서 나오는 것을 지켜보다 를 그려

눈꼽끼다 를 나타냈다

 

460. 죽 (蔑) 

쌀 米 미 + 초두 머리サ + + 지킬

+ 지킬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나오는 것을 그렸다

쌀에서 나오는(쌀이 갈라지면 나오는) 것을 지켜보다 를 그려

죽 을 나타냈다

 

461. 가늘다

실 絲 사 변 + 초두 머리サ +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나오는 것을 그렸다

실에서 나오는(실이 갈라지면 나오는) 것을 지켜보다 를 그려

가늘다 를 나타냈다



462. 더러운 -모독하다

피 血 혈 + 초두 머리 サ + + 지킬

+ 지킬 = 지켜보다

지킬수 가 창을 들고 외부 침략에 싸워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한다는 뜻의 지켜 로 전환되었다

초두 머리 나오는 것을 그렸다

피가 나오는 것을 지켜보다 를 그려

더럽다 를 나타냈다

 

*. 목숨  

옥편에서

   + 명령하다  

으로 임금의 입을 통해 명령을 내리다

 해석  것을   있다

 

하지만 우리 조상님들께서 문자를 만드실 

목숨   이란

천지인 기운의 삼합을 나타내는 모을  

개개인을 나타내는   

쪼개진  쪽이 정확히 들어맞아 사실이 틀림없음을 밝히는 병부  

 이루어져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이 해석으로 보면 천명은 왕과는 관련이 없고

천지인의 기운과 관련이 있으며

천지인의 기운 과 사람의 마음이 같아야 함을 문자 자체가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해석으로

 

중용의 해석도 기존의 애매한 해석이 아닌 구체적인 해석을 내놓을 수 있다

 

지금은 한자라 불리는 배달 문자가 만들어질  우리 조상들께선 이미

천지인의 기운이 개개인의 기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문자다

개인의 기운이 천지인의 기운과 맞아 떨어질  개인이 흥하고

개인의 기운이 천지인의 기운에 거슬릴  개인이 망한다

 뜻을 지니고 있는 문자다

 

물론 개개인들의 기가 모여 천지인의 기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뜻도 갖고 있고 이러한 개개인의 기운을 혁명 革命 이라고 한다

 

463. 새길 銘 명

쇠 金 금 + 이름 名 명

쇠 + 이름 으론 새기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새다새기다 전환시켜

이름 새기다 를 그려

새기다 를 나타냈다

 

464. 아무

호칭을 없는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나타내는 대명사

나무 木 +

여기서 속에 것을 물고 있는 표현으로

남의 속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없다는 뜻으로

아무 자가 만들어졌다

나무가 아닌 '남의' 쓰인 경우이다

 

465. 꾀

입 口 구 + 아무

입 (말하다) + 아무 로는 꾀를 나타낼 수 없다

입 口 구 + 달 + 나무

속에 맛있는 혹은 속의 등을 그린 자이며

나무남의 전환하여

남의 입 속에 든 것이 무엇인지 말하다 를 그려

꾀를 나타냈다

 

*. 법-모방하다-모양-거푸집 模 모

나무 木 목 + 저물

莫 

소전을 보면

나무 木 목 : 나무

초 두 머리 艹 : 들어내다

날 日 일 : 口 영토를 一 가르고/채우고 있는 것

큰 大 대 : 두 손을 나타낸다

'영토

→흙' 에 채웠다 두 손으로 들어내는 나무' 를 그려

'거푸집/목형' 을 나타내어'모방하다' 를 나타냈다모방하다

→따른다→따라야 한다→법

의 변환을 거쳐 '법' 을 뜻하게 되었다

 

*. 없을 (저물) 莫 막 (모)

초 두 머리 艹 + 해 日 일 + 큰 大 대

'큰 大 대' 를 '초 두 머리 艹' 의 변형 혹은 생략형으로 보면

'풀숲에 해가 있음' 을 그려

'해가 졌음' 을 그려

'없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고

'큰 大 대' 를 '두 손' 의 변형 혹은 생략형으로 보면

'해를 들어 내놓다 (초 두 머리 艹)' 를 그려

'그렇게 할 수가 없음' 을 그려

'없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겠다

 

 

466. 꾀 謀 모

말씀 言 언 + 아무

말하다 + 아무 로는 꾀를 나타낼 수 없다

입 口 구 + 달 + 나무

속에 맛있는 혹은 속의 등을 그린 자이며

나무남의 전환하여

남의 입 속에 든 것이 무엇인지 말하다 를 그려

꾀를 나타냈다

 

467. 머리를 감다 沐 목

물 수 변 + 나무 木 목

물 + 나무 로는 머리감다 나 목욕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무 木 목 의 목을 신체의 일부인 목 으로 전환해

목에 물을 붓다 를 그려

머리감다 를 나타냈다

 

468. 가축을 기르다 牧 목

소 牛 우 + (때리다) 칠

소 + 때리다 로는 가축을 기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복 의 치다 를 우리는 ‘소치다-양치다’ 와 같이 기른다 는 의미의 치디 로 쓸 수도 있다

해서 소치다 를 그려

가축을 기르다 를 나타냈다

 

469. 눈매 곱다

눈 目 목 + 언덕

눈 + 언덕 으로는 눈매 곱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언덕 륙 = 흙 土 토 + 어진 사람  인 + 흙 土 토

흙 土 토 의 음인 토 에서 토하다토해내다내놓다 로 전환시켜

눈 + 토하다 + 어진 사람 + 토하다

어진 사람이 눈에서 내놓는 것을 그려

눈매 곱다 나타냈다

 

*꿈 夢 몽

머리 廾 + + 덮을 + 저녁

머리나오다-나타나다

눈-보다-보이다

덮을 덮다-가리다-가리워지다

저녁석 저녁-어두움

저녁이 (세상을) 덮었을 때 나타나 보이는 것 을 그려

꿈 을 나타냈다

 

470. 어두울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덮다 + 하나 + 돼지 로는 ‘어두울’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돋아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1. 분명치 않다 ?

입 口 구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입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입에서 돋아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냈다

 

472. 어릴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어리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즉

아직 덜 나온 것을 그려

어리다 를 나타냈다

 

473. 덮을

수건 巾 건 + 초 두 머리 サ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수건 + 풀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덮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수건(베)로 덮다 를 그려

덮다 를 나타냈다

 

474. 어두울

마음 심 변 忄+ 초 두 머리 サ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마음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돋아나오는 하나의 마음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5. 어두울 (동이 트다)

날 日 일 + 초 두 머리 サ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날 + 초 두 머리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동이 트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하늘에 돋아 나오는 해를 덮어 가리다 (덮어 가려졌던 해가 나오다) 를 그려

어둡다 (동이 트다) 를 나타냈다

 

476. 이슬비

물 수 변 氵+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물  + 덮을  + 한  + 돼지 로 이슬비 를 나타낼 순 없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듣다 전환으로

하늘에서 물이 듣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하늘에서 내리는 물을 모두 가릴 순 없으므로)

이슬비 를 나타냈다

 

477. 가랑비

물 수 변 氵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물  + 풀 + 덮을  + 한  + 돼지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듣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물이 듣어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하늘에서 내리는 물을 모두 가릴 순 없으므로)

가랑비 를 나타냈다

 

478.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 (흐리다)

달 月 월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달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낼 순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하늘에서 돋아 나오는 달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냈다

 

479. 청맹과니

눈 目 목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눈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청맹과니 를 나타낼 순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좋은) 눈을 하나 로 덮어 가리다 를 그려

청맹과니 (눈은 멀쩡히 뜨고 있는데 앞을 못 보는 사람)

를 나타냈다

 

480. 싸움배

배 舟 주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배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싸움배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치고 오르다치고 오다치며 오다) 전환으로

치며 오는 배를 덮어 가리며 나가는 배 를 그려

싸움배 를 나타냈다

 

481. 말이 불분명하다 (蒙) 

말씀 言 언 + 초 두 머리 サ + 덮을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말씀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다(돋우다) 전환으로

말이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그려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냈다

 

482. 사당 廟 묘

집 广 엄 + 아침 朝 조

제후가 집을 짓고

종주국인 조선을 향해 제사지냈다는 의미의 글자

아침 朝 조 의 해석은 여러가지이나

어떤 해석에도 관계없이

이 문자를 하족들이 만들었다면

조선 朝鮮 을 의미하는 아침 朝 조 가 아닌

하 나라 夏 하 를 써서

사당 廟 묘 자를

집 广 엄 +  하 나라 夏  하 로 만들었었어야 옳지 않겠는가?

지금 한자라 불리우는 문자를 하족들이 만들었다고

굳게 믿고 있는 분들은

아비의 성씨가 문씨인데

자신의 성씨는 박씨라고 하는 이들과 다름이 없다

 

483. 사당 庿

‘집 广 엄 + 모 苗 묘’ 로 이루어진  

‘사당 庿 묘’ 는 ‘사당묘’ 의 고자 古字 다

모 苗 묘 묘족 苗族 의 이름으로

이  묘족 苗族 에 대한 아래의 역사의 기록과

현대 지나인들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1. 묘족은 지나족이 역사에 등장하기 1500여년 전부터 이미 지나 대륙 대부분과 한반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2. ‘사당 庿 묘’ 자의 원래 주인공은 묘족이었으며, 묘족의 뒤를 조선이 이었다
  3. ‘사당 庿 묘’ 와 ‘사당묘’ 이들 두 자를 만든 이들은 지나족과는 전혀 연관이 없다

라는 것이다

지금 한자라 불리는 문자는 우리들의 조상인

동이족들이 만든 것이다

 

-묘족 苗族 에 대한 역사의 기록과 현대 지나인들의

연구 결과들을-

. [山海经·大荒南经] 载:“东南海之外,甘水之间,有羲和之国。[山海经·海内经]载:“南方……有人曰苗民……名为延维。” 산해경에 의하여

묘족이나 묘민이란 말이 지나의 문헌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묘족의 전설과 한문문헌에 의하여

묘족선민들은 신화 중의 蚩尤(치우)九黎(구려) 연관성이 있다

[苗经(묘경)] [姓氏歌(성시가)]에서 치우는 자기민족의 수령이라고 기록하였다

또한 묘족은 치우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섬기며, 단풍나무 숭배 치우와 관련된 풍습을 보존하고 있다.

 

대만대학의 서량지 교수는중국사전사화(中國史前史話)』에서 

"4천여년 한족(漢族) 지나에 들어오기 전에 中原 북부 남부를 
이미 묘족(苗族:동이東夷) 점령하여 경영하고 있었다
한족이 지나에 들어온 뒤에 점점 서로 더불어 접촉하였다
하였으며

촤이나 역사학자인 왕동령(王棟齡) 
중국사(中國史)에서 
"한족이 지나에 들어오기 이전에 
현재의 
호북(湖北)-호남(湖南)-강서(江西) 지방은 
이미 "묘족의 영속지"였다

민족의 나라 이름은 구이(九夷)인데 임금은 치우(蚩尤)였다
주장하고 있다 

소련의 인류학자인 시로코고르프는촤이나 역사에서 

"BC 3,000년경 동이족은 
이미 황하 양자강 서강의 중류이동(中流印) 중간지역에 살았으며
지나족은 이보다 1,500~2,000 후에 
동방천자 치우(蚩尤) 다스리는 동이족의 나라인 강회(江淮)지방에 진출하였다
주장하였다

 

484. 그리다-묘사하다 描 묘

손 수 변 + 모 苗 묘

‘손 + 모’ 로는 ‘그리다-묘사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손 수 변 + 초 두 머리 + 밭 田 전

손 수 변은 손손쓰다 전환

초두 머리 땅에서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렸다

보이게 되었다(하다) 나타낸 것이고

바깥 으로 전환시켜

바깥으로 드러나게 손쓰다 그려

‘그리다-묘사하다’ 를 나타냈다

 

485. 발라내고 뼈만 남다 (戼)

부서진 뼈 알 + 토끼 묘 (卯의 본자)

부서진 뼈 + 토끼 로는

발라내고 뼈만 남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토끼 묘 (卯의 본자) 는 토끼의 귀를 강조한 자로

톡 튀어나왔다두드러지다 전환되어

부서진 뼈만 두드러지다 그려

발라내고 뼈만 남다 를 나타냈다

 

486. 닻 錨 묘

쇠 金 금 + 모 苗 묘

쇠 + 모 로는 닻 을 나타낼 수 없다

쇠 金 금 + 초 두 머리 + 밭 田 전

초두 머리 땅에서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린 것

내놓다 나타낸 이고

바깥 으로 전환시켜

바깥으로 내놓는 쇠 를 그려

닻 을 나타냈다

*. 舞踊 무용

*. 없을 無 무

 

'양손에 장식을 들고 춤추는 모양을 본뜬 글자' 로

춤에 빠진 무희들이 정신이 없음을 나타냈다고도 하고

'큰 大 대' 의 변형 + (수풀이 우거진 모양) + 불 화 발 灬 

로 해석하기도 하나

소전체에 구애받지 말고

'화살 모양 ? + 풀 초 머리 艹 + 풀 초 머리 艹 + 일정한 구역을 나타내는 ㅡ + 불 화 발 灬'

'풀 초 머리 艹 + 풀 초 머리 艹 + 일정한 구역을 나타내는 ㅡ' 은 '숲' 이 되고

로 보면 '숲이 불화살에 의해 모두 타버림' 을 그려

 

'없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겠다

 

*. 춤출 舞 무

없을 無 무 + 이리저리 움직일-어그러질 舛 천

'양손에 장식을 들고 이리저리 움직이며 춤추는 모양을 본뜬 글자' 로

손의 움직임을 강조했고
 
*. 어루만지다-사랑하다-누르다 撫 무
손 수 변 扌 + 없을 無 무
'없을 無 무' 와 '춤출 舞 무' 의 小篆 소전의 모양은 같다

'없을 無 무' 가 본래 춤추다의 뜻으로 쓰이다 '없다' 를 나타내게 되며

'舞' 를 만들어 '춤추다' 를 나타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해서 '손이 춤추다' 를 그려

'어루만지다-사랑하다-누르다' 를 나타냈다

(*. 宣撫 선무 : 정부의 뜻을 전해 민심을 안정시킴)

*. 춤출-솟아오를 踊 용

발 足 족 변 + 솟아오를 甬 용

'발을 올리는 모양' 을 그려

'춤추다' 를 나타냈다

발의 움직임을 강조했다

 

손과 발을 이리저리 움직임을 그려 춤추다-무용을 나타냈다

 

486-1. 바꿀 貿 무

‘조개 貝 패’ 의 윗부분은 ‘토끼 卯 묘’의 변형이다

해서 ‘토끼 卯 묘 + 조개 貝 패’ 로 파자되는데

‘토끼 卯 묘’ 는 토끼의 톡 튀어나온 양쪽 귀를 그렸다고 보인다

또한 卯 의 변형 중 오른쪽의 ‘칼 刀 도’ 는 가르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가른다는 뜻이 있어 귀 (퉁이) 를 가르는 것을 나타낸다

‘조개 貝 패’ 는 자본과 상품을 나타낸다

해서 ‘바꿀 貿 무’ 는

귀퉁이 즉 남는 자본과 상품을 그려

바꾼다를 나타냈다

 

*. 안개

비 雨 우 + 힘쓸 務 무

*. 힘쓸 (업신여기다) 務 무 (모)

(세모진 창 矛 모 + 칠 攵 복) 힘쓸 敄 무 + 힘 力 력

창으로 치기 위해 힘쓰다 를 그려

힘쓰다 를 나타냈다

'비 + 힘쓰다’ 론 안개를 나타낼 수가 없고

‘창에 힘을 가해 비를 치다' 즉 ‘부서진 빗물' 을 그려

'안개'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486-2. 모기 蚊 문

벌레 虫 훼 + 글월 文 문

벌레들이 사람을 많이 물기는 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모기

해서 '글월 文 문' 의 음인 '문' 을 써 '문다' 를 나타내

'벌레 + 문다' 를 그려

모기 를 나타냈다

 

*. 눈 내리깔고 보다 闅 문

문 門 문 + 하늘 旻 민

‘하늘이 집의 문 혹은 가문보다 낮다’ 를 그려

‘눈 내리깔고 보다’ 를 나타냈다

 

*. 象形文字 상형문자' 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끈이나 새끼줄을 이어 들고나는 것을 제한했던

'結繩文字 결승문자' 라고 한다

'말 勿 물' 은 깃발의 모양을 그린 것으로

보통은 '깃발이 있는 곳에 모인다' 는 뜻으로 쓰이지만

결승문자의 한가지인 깃발이 쓰인 이유는

깃발과 무관한 집단은 들어오지 말라는 이유였을 것이다

해서 '말 (라)' 의 뜻을 나타냈다

486-2-1. 말 勿 물

1. 깃발을 그린 것이라고도 하고

2. 달 월 의 변형이라고도 하며

3. 쌀 포 몸 + 복수의 물건을 그린 丿 + 丿로도 볼 수 있겠다

'하지 않다' 는 의미의 '말다' 는 뜻으로 쓰인 것은

#3의 의미 중 '둘둘싸서 말다' 의 '말다' 를

'하지 않다' 는 '말다' 로 전환한 것이다

'정성스럽다-힘쓰다' 는

'물건을 싸서 말다' 에서 확장된 것이다

 

*. 산 높은 모양 岉 물

뫼 山 산 + 깃발 勿 물

勿 이 486-2-1의 #1의 뜻으로 쓰여

산꼭대기에 깃발을 꽂은 모양을 그려 '산 높은 모양' 을 나타냈다

 

*. 잠기다 沕 물

물 수 변 氵 + 깃발 勿 물

勿 이 486-2-1의 #1의 뜻으로 쓰여

'물에 감싸인 깃발' 을 그려 '잠기다' 를 나타냈다

 

*. 만물 物 물

소 우 변 牜 + 모이다-말다 勿 물

‘차조 秫 출’ 이나 ‘검은기장 秬 거’

‘조 粟 속’ 이나 ‘기장 粢 자’ 에서처럼

대부분의 곡식의 이름은 ‘벼 禾 화’ 나 ‘쌀 米 미' 를 앞세워 만들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민족이 만든 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쌀농사를 짓기 위해 소를 쓰고

소가 민족과 떨어질 수 없는 동물이었기에

소가 모든 동물을 대표했기에

勿 이 486-2-1의 #1의 뜻으로 쓰여

‘牜 소 + 勿 깃발을 그려 모이다를 나타낸 것’

으로 ‘소 + 모이다’ 를 그려

‘만물이 모이다' 를 나타냈다

또한 ‘만물이 모이다' 로 ‘만물' 도 나타냈다

 

*. 멀다 (辶勿) 물

쉬엄쉬엄 갈 辶 착 + 힘쓰다 勿 물

勿 이 486-2-1의 #3의 뜻으로 쓰여

'힘써 쉬엄쉬엄 간 곳' 을 그려 '멀다' 를 나타냈다

 

*. 멀리 보다-오래 보다 䀛 물

눈 目 목 + 정성스럽다-힘쓰다 勿 물

勿 이 486-2-1의 #3의 뜻으로 쓰여

정성스럽게-힘써 보다를 그려

'멀리 보다-오래 보다' 를 나타냈다

 

*. 고운 가루 粅 물

쌀 米 미 + 깃발 勿 물

勿 이 486-2-1의 #1의 뜻으로 쓰여

깃발의 끝이 갈라진 모양에서

'쌀을 가르다-갈라진 쌀' 을 그려 '고운 가루' 를 나타냈다

 

*. 필요없다-말다 覅 물

여자를 덮어가려 숨기는 것이 중요하다 要 요 + 둘둘싸서 말아 가리다 勿 물

勿 이 486-2-1의 #3의 뜻으로 쓰여

'이미 숨긴 것을 재차 숨기다'를 그려 '필요없다-말다' 를 나타냈다

 

*. 고구려의 국시였다고 하는 多勿 다물은

많을 多 다 + 말 勿 물

이 단어에서 말 勿 물 은 勿 이 486-2-1의 #1의 뜻으로 쓰여 '깃발 (군대의 깃발)' 의 뜻과

486-2-1의 #3의 뜻으로 쓰여 '흩어져 있던 단군조선의 제후국들을 하나로 모으다' 로 쓰여

'많은 군대로 흩어져 있던 단군조선의 많은 제후국들을 하나로 모으다' 란 뜻으로도 볼 수 있겠다

 

486-3. 작을 微 미

(길을 나타낸) 자축거릴 彳 척 + 뫼 山 산 + 허리를 구부리고 일하는 사람 모양 + 칠 攵 복

으로 산길을 치우는 사람

사람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찮은 일을 하는 사람을 그려

‘작다-은밀하다-천하다’ 를 나타냈다

‘칠 攵 복’ 은 ‘때린다' 가 아니라

‘깨끗이 하다/길을 내다' 의 ‘치우다’ 로 변환되었다

 

 

487. 물결

물 수 변 氵+ 쌀 米 미

물 + 쌀 로는 물결 을 나타낼 수 없다

쌀 米 미 의 쌀 을 살 로 전환시켜

물살 을 그려

물결을 나타냈다

 

488. 어루만지다

+

+ 치다(때리다) 로는 어루만지다 나타낼 없다

치다

() 치다 그려

어루만지다 나타냈다

 

*. 맛 味 미

입 口 구 + 아닐 未 미

'입 + 아니다' 론 맛을 나타낼 수 없다

입 口 구 자체로도 맛보다란 뜻이 있지만

아닐 未 미 를

나무 木 목 + 나무 윗 부분에 달려 있는 열매 一 로 해석하면

나무 위에 달린 열매를 맛본다를 그려

맛을 나타냈다

 

*. 咪과 咩은

양이 우는 소리 - 양이 울다의 뜻으로 같은 자다

결국 쌀 米 미와 양 羊 양이 같은 의미로 쓰였다

쌀과 양이 이 문자를 만든 종족의 주식이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쌀은 지나족의 주식이 아니다

양 羊 양 + 계집 女 녀 = 성씨 姜 강

양족의 여인이 나은 성이 강씨 성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姜씨 성을 가진 神農 신농씨가 羊 족이었다

신농씨는 동이족이었다고도 하고

배달국을 상국으로 모시는 집단의 우두머리였다고도 한다

 

489.

+

+ 로는 죽을 나타낼 없다

삶으로 전환시켜

쌀을 삶다 그려

나타냈다

 

489 - 1. 아닐 - 없다 靡 미

삼 麻 마 + 아닐 非 비

'삼 麻 마' 의 훈인 '삼' 을

식물인 '삼' 을 '삼다' 의 '삼' 으로 변환해

'없는 - 아닌 것으로 삼다' 를 그려

'아니다 - 없다' 를 나타냈다

지금 한자라 불리는 문자는

지나인들이 만든 문자라고 굳게 믿고 있는 분들은

자원을 모르겠다는 결론으로 마무리지을 수 밖에 없었겠지만

지금 한자라 불리는 문자는 우리 말을 근거로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위와 같이 아주 쉽게 자원을 알아낼 수 있다

 

*. 부지런하다-힘쓰다-아름답다 斖 미

글월 文 문 + 절구 臼 구 + 한가지 同 동 + 덮을 冖 멱 + 또 且 차

‘또 且 차’ 는 자지

‘절구 臼 구’ 는 보지

‘한가지 同 동 + 덮을 冖 멱’ 은 덮어 하나로 된다

‘글월 文 문’ 은 그리다

‘남녀가 성행위를 하는 모양’ 을 그려

‘부지런하다’ 를 나타냈다

*. 부지런하다-힘쓰다-아름답다 (亠 아래 臼 안에 同 아래 冖 아래 且) 미

돼지 해 머리 亠 두 + 절구 臼 구 + 한가지 同 동 + 덮을 冖 멱 + 또 且 차 지금까지는 亠 를 높을 高 고의 약형으로 보았으나 위에서 보듯이

글월 文 문의 약형으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490. 물고기 알

물고기 魚 어 + 쌀 米 미

물고기 + 쌀 로는 물고기 알 을 나타낼 수 없다

쌀 米 미 의 쌀을 우리는 씨알 에서 나왔다고 한다

물고기 씨알 을 그려

물고기 알 을 나타냈다

 

*. 백성民민

성씨 氏 씨 + 둘러쌀-울타리 囗 위

울타리-국가 안에 모여 있는 여러 성씨들을 그려

백성을 나타냈다

같은 성을 가진 가족이 모여 씨족이 되고

여러 씨족이 모여 부족이 되고

더 많은 씨족이 모여 국가가 되고

그 국가의 울타리 안에 있는 이들을 아울러 백성이라 한다



491. 강하다(); 힘쓰다(); 굳세다 敃 민
백성 民 민 + 칠 攵 복
백성 + 치다
백성을 치다-때린다 로 강하다를 나타낼 순 없다

‘칠 攵 복’ 의 치다 를

소치다-양치다 에서 처럼 기르다 의 의미로 써서

백성을 기르다 (다스리다) 를

백성을 힘써 강하게 다스리다 를 그려

강하다-힘쓰다 를 나타냈다

 

*. 감추다-빽빽하다-편안하다-비밀로하다 密 밀

편안하다-비밀로하다 宓 밀 + 뫼 山 산

‘산에는 감추어진 비밀로 빽빽히 차있다’ 를 그려

‘감추다-빽빽하다-편안하다-비밀로하다’ 를 나타냈다

편안하다-비밀로하다 宓 밀

집 宀 면 + 반드시 必 필

‘비밀스런 일은 반드시 집안에서 해야하며

그래야 편안하다

혹은 집안에 있으면 편안하다’ 를 그려

‘편안하다-비밀로하다’ 를 나타냈다

 

*. 진흙 㳴 밀

물 수 변 氵 + 반드시 必 필 + 흙 土 토

‘반드시 물기를 머금고 있는 흙’ 을 그려

‘진흙' 을 나타냈다

 

492. 벗기다 剝 박

새길 彔 록 + 칼 도 방

(나무에) 새기다 + 칼 로는 벗기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새길 彔 록

새기다 는 우리 말로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푸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칼 도 방

가르다 의 전환을 거쳐

풀어 가르다 를 그려

벗기다-찢다 를 나타냈다

 

*. 치다-어루만지다 拍 박(본음은 백)

손 수 변 扌+ 흰 白 백

1. 소전의 모양은 손 수 변 + '힘쓰다' 는 뜻도 갖고 있는 '일백 百 백' 이다

백은 좋은 뜻을 보이는

어질다/밝다/낫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손 수 변 + 힘쓰다 百 백

으로 보면 '손으로 힘을 쓰다' 를 그려

'치다-두드리다' 를 나타낸 것이고

손 수 변 + 좋은 뜻 白 백

으로 보면 '손으로 하는 좋은 일' 을 그려

'어루만지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2. 손뼉의 어원은

'손 + 벽 (손 + ㅅ + 벽) 이라고 하고

'손가락과 손바닥을 합친 손의 전면' 을 의미하며

손뼉이란 말이 나오면 '친다' 란 말이 꼭 따라나온다해서

친다란 뜻의 문자를

'손 + 벽' 으로 나타낸 것인데

'손' 은 '

손 수 변 扌' 으로

'뼉' 은 발음이 비슷한 '흰 白 백' 으로 나타냈다

 

*. 머무르다

물 수 변 氵+ 흰 白 백

백은 좋은 뜻을 보이는

어질다/밝다/낫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해서 '물이 좋다' 를 그려

(사람들은 무릇 물이 좋은 곳에 정착하려 하니)

'머무르다' 를 나타낸 것이

 

*. 핍박할 迫 박

쉬엄쉬엄 갈 착 변 辶 + 벌주의 잔 - 흰 白 백

흰  백은 좋은 뜻을 보이는

어질다/밝다/낫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해서 '벌주의 잔이 가다' 를 그려

'핍박하다' 를 나타낸 것이

 

*. 조선 개 狛 박

이리를 닮았다고 한다

개사슴 록 변 犭 + 훈련되지 아니한 - 밝은 - 총명한 白 백

이리를 닮아 야생으로 보여

‘훈련되지 않은 개' 를 그려 혹은

'총명한 개' 를 그려

'조선의 개'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493. 논박하다

+ 주고받다

(짐승인) + 주고받다 로는 논박하다 나타낼 없다

입으로 하는 전환시켜

말을 주고받다 그려

논박하다 나타냈다

 

494. 천한 일을 하다 (八 밑에 菐)

여덟 八 팔 + 번거로울

여덟 + 번거로울 로는 천한 일을 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여덟 八 팔 의 팔을 빠개다 로 전환시킨다

번거로울 복 = 초 두 머리艸 + +

로 큰 양의 머리에 난 뿔을 그린 것으로

번거로움을 나타낸 자이다

해서 큰 양의 머리에 난 뿔을 빠개는 것

즉 백정의 일을 그려

천한 일을 하다 를 나타냈다

 

495. 나눌

쌍옥 +

으로 옥편엔 쌍옥을 칼로 나누어 준다는 데서

'나누다' 뜻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成器

옥불탁 불성기

옥도 쫗아야만 그릇이 된다

명심보감의 구절에서도 있듯이

옥은 경도가 6.5 – 7 정도로 단단해 고대엔 쪼아서 가공했다

쌍옥을 분리할 가운데에 길고 가는 홈을 뒤에

압력을 홈에 가해가며 가른다

결국 쌍옥을 칼로 나눈 것이 아니라

칼이란 음에서 갈라-가른다 전환해

쌍옥을 갈라 반으로 '나눈다' 에서 '나눌 ' 만들어진 것으로

옥편에 있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우리 '가르다' 모르면 만들 없는 문자이다

 

495-1. 배필 㜶 반

계집 女 녀 + 토끼 毚 참

'여자 + 토끼' 론 배필을 나타낼 수 없다

'토끼' 는 '톡 튀어나온 귀' 를 가진 동물을 나타낸 우리 말로

'톡 튀어나온' 즉 '특별한' 을 나타낸 것으로

'특별한 여자' 를 그려

'배필' 을 나타낸 것이다

'토끼같은 자식' 이란 말도 '특별한 아이' 를 그린 말이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조자이다

 

495-2. 살찌다 胖 

고기 육 변  + 반 半

'고기 + 절반' 으론 살찌다를 나타낼 수 없다

'반 半 반' 의 훈과 음을 모두 써 '반반하다' 로 써

'(고기) 살이 반반하다' 를 그려

'살찌다' 를 나타냈다

 

496. 배반하다 叛 반

반 半 반 + 돌이킬-되돌릴 反 반

절반 + 돌이킬-되돌리다 로는 배반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반 半 반 의 반 에서 반대로 로 전환시켜

반대로 되돌리다 를 그려

배반하다 를 나타냈다

半 (bàn) 反 (fǎn) 의 촤이니즈 발음은 다르다

 

497. 거스르다

마음 심 변 忄+ 반 半 반

마음 + 절반 으로는 거스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반 半 반 의 반 에서 반대로 로 전환시켜

반(대)의 마음 을 그려

거스르다 나타냈다

半 (bàn) 反 (fǎn) 의 촤이니즈 발음은 다르다

 

498. 나누다

나눌 +

나누다 + 치다 나누다 의미만을 그렸다고 없다

하지만 우리 치다 여긴다 로도 쓰인다

해서 나눈 것으로 여긴다 그려

나누다 나타냈다

 

499. 얼룩덜룩하다 (文)

나란히 할 幷 병 + 글월(무늬) 文 문

나란히 하다 + 글월 로는 얼룩덜룩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란히 할 幷 병 은

방패 干 간 + 방패 干 간 + 사람 人 인 + 사람 人 인

으로 방패를 들고 있는 두 사람을 그린 것인데

여기서 ‘방패 干 간’의 의미만을 취한 뒤에

방패 干 간 이 두 번 쓰였으므로

간간(이) 를 취해 드문드문으로 전환해

드문드문 있는 무늬 를 그려

얼룩덜룩하다 를 나타냈다

 

500. 눈매 어여쁘다 盼 반

눈 目 목 + 나눌 分 분

눈 + 나누다 로는 눈매 예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눌 分 분 의 나누다 를 나다 로 전환하면

우리 말 나다 는 잘났다 를 나타내기도 한다

눈이 나다 를 그려

눈매 어여쁘다 를 나타냈다

또한 나눌 分 분 의 음인 분을

화장할 때 쓰는 색조 화장품인 '분' 으로 변환해

눈가에 분을 칠한 것을 그려

눈매 어여쁘다 를 그린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 되돌리다 (攴) 반 (되돌리다 般 반 의 고자)

배 舟 주 + 칠

배 + 치다 로는 되돌리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배 舟 주 에서 ‘배’ 를

복 에서 ‘치’ 를 취해

배치 (혹은 배치기) 를 그려

우리 말 발음 ‘배치’ 는 반대를 나타낸다

되돌리다 를 나타냈다

 

*. 되돌리다

 + (치다 의미)

 + 치다 로는 되돌리다 나타낼 없다

에서 ‘’ 

(치다 의미에서 ‘’  취해

배치 (혹은 배치기) 를 그려

우리 발음 ‘배치’  반대를 나타낸다

되돌리다 나타냈다

 

501. 말 잘하다

말씀 言 언 + 반 半 반

말씀 + 반 으로는 말 잘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반 半 반 의 훈과 음을 모두 써 ‘반반’ 을 취해

말을 반반하게 하다 를 그려

말 잘하다 를 나타냈다

 

*. 밥 飯 반

밥 食 식 변 + 되돌릴 反 반

밥 + 되돌리다 로는 밥-밥 먹다 란 뜻을 나타낼 수 없다

밥 食 식 + 언덕 한 + 또 (오른 손) 又

언덕 으로 집을 뜻한다

밥은 집에서 오른 손으로 먹어야 한다 는 뜻을 그렸다

 

502. 넙치

물고기 魚 어 + 되돌릴 反 반

물고기 + 되돌리다 로는 넙치 를 나타낼 수 없다

되돌릴 反 반 의 반 에서 반듯한편편한 으로 전환해

편편한 물고기 그려

 

넙치를 나타냈다

 

*. 반하다

'남자-여자에 반하다' 라고 할 때의 '반하다' 는

1. 얼음이 녹다-풀어지다 冸 반

얼음 冫 빙 + 반 半 반 (첫 눈에 반해 다리가 풀어졌다) 

2. 짝 伴 반

사람 인 변 亻+ 반 半 반 (반쪽임을 느끼게 되다)

3. 줄로 매다-매이다 絆 반

실 사 변 糸 + 반 半 반

(반쪽에 매이게 되다) 의 세 가지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

 

*. 盤問 반문

쟁반-대야 盤 반 + 물을 問 문

돌이키다-펴다 般 반 + 그릇 皿 명

그릇에 놓고 이리저리 돌려가며 치다

그릇에 놓고 이리저리 돌려가며 치다 + 묻다

해서 ‘가두어 놓고 다방면으로 묻다' 를 그려

‘자세히 캐묻다’ 를 나타냈다

 

*. 反問

질문에 답하지 않고 되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