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자왈 순기대지야여 순호문이호찰이언 은악이양선
자왈 순임금은 매우 지혜로운 분이셨음에 틀림이 없다
질문하기를 좋아하셨고 백성들의 일상 (에서 쓰이는 말들) 도 자세히 살피셨다
(“隱惡揚善 은 나쁜 점은 숨기고 좋은 것은 드러낸다” 라고들 해왔지만
여기선)
‘악’ 을 가두고-백성들 사이에 퍼지지 않게 하고
‘선’ 을 백성들에게 널리 펼쳤다
로 보겠다
*. 순임금 - 무궁화 舜 순
손톱 爪 조 + 덮을 冖 멱 + 어그러질 舛 천
소전을 살펴보면
상자 匚 방 + 불꽃 炎 염 + 어그러질 舛 천
‘상자 匚 방 + 불꽃 炎 염’은
舜 순임금의 고조할아버지가 炎帝 神農氏 염제 신농씨인 것을 나타내며
소전에선
炎帝 神農氏 염제 신농씨의 高孫 고손 때에
고신씨족과 황제족이 고양씨족으로부터 갈라져 나가려고 했다
를 그린 것이고
예서체는
고신씨족과 황제족이 고양씨족으로부터 갈라져 나가려고 하는 것을
(炎帝 神農氏 염제 신농씨의 高孫 고손인) 순임금이 감싸안아
고양씨족-고신씨족-황제족이 분리되지 않고 공생하도록 한
역사적인 사실을 밝힌 것이다
*. 그 其 기
'키를 그린 (一 + ∐ + Х)' + 키를 얹는 대를 그린 '맞잡을 (一 밑에 八) 공'
이 키를 그려 → 기 → 그
로 변환되었다
*. 큰 大 대
사람이 두 팔과 다리를 벌리고 있는 모습을 정면에서 그린 자
*. 알 知 지
화살 矢 시 + 입 口 구
각각의 씨족은 각각 다른 표식을 화살에 그려
사냥으로 얻은 식량의 주인을 정할 수 있었고
부족간 전쟁에서 각 씨족의 ‘공’ 을 정했다고 한다
‘입 口 구’ 는 ‘(구분해) 말하다’ 의 뜻으로 쓰였다
해서 ‘각 종족의 화살의 표식을 구분할 수 있다’ 를 그려
‘(세상을) 안다고 할 수 있다' 를 나타냈다
*. 어조사 也 야
여자의 음부 모양을 본뜬 글자라는 설과
주전자의 모양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 있다고 하는데
소전체를 비롯한 모두 자체가 뱀을 그린 것으로 보이며
땅 속에 겨울잠을 자던 뱀이 고개를 들고 나오는 모양을 그린 글자라는 설도 있다
그런데 여러 설 중에
여자의 음부 모양을 본뜬 글자라는 설을 참고해
也 을 여자의 음부 (也 빼기 ㅣ) 에 ㅣ 을 남근으로 보면
음부에 남근이 들어간 모양으로 보면
文尾 문미를 나타내는 어조사를 쓰일 수 있었을 것 같다
*. 주다 - 더불어 與 여
절구 臼 구 - 여성의 성기 즉 질을 나타낸다
여덟 八 팔 - 여성의 다리를 나타낸다
줄 与 여 - 질을 꽉 채운 모양을 나타내는 것
남녀가 더불어 하는 행위이다
해서 '더불어' 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서로간에 주는 행위이므로 ‘주다' 의 뜻도 나타낸다
혹은
臼 는 마주보고 있는 사람의 모양
八 은 두 사람의 양손
臼 안의 ♄ 와 비슷한 모양은 받들려지는 대상으로
함께 마주 드는 모양을 그린 자로 보기도 한다
也與 야여 : 강한 단정을 나타내는 어조사
也 와 與 모두
자지가 보지에 삽입된 모양을 그려 강한 단정을 나타낼 수 있었다
*. 좋아할 好 호
계집 女 녀
(여자가) 사람이 무릎을 꿇고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앉아 있는 모습
아들 子 자
어린 아이의 머리와 두 팔을 본뜬 것이다
어린 아이가 두 팔을 흔들며 노는 모양을 본뜬 글자
‘계집 女 녀’와 ‘아들 子 자’에 대한 위의 해석은
소전에 대한 해석일 뿐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예서의 해석은
계집 女 녀
는 남자의 다리에 자신의 다리를 거는 여인의 모습을 그린 자이며
아들 子 자
849-가-1. 아들 子 자
새 을 의 변형 ⺂ + 열 十 십
'열 十 십' 은
글자의 모양에서 '음양의 합일' 을
훈인 '열' 에서 '열다/열매' 를
음인 '십' 에서 '씨입/씨앗' 을 나타낸다
말이 문자보다 있었고
난생 설화가 문자보다 먼저 있었다면
새가 물어온 씨앗을 그려
아들을 나타냈다
동이족이 만든 문자다
‘계집 女 녀’와 ‘아들 子 자’는 각각의 글자가
음양의 교합을 의미한다
그래서 好 는
좋아하다 - 화목하다 - 정분 - 구멍 - 손님에게 주는 선물
등을 의미한다
*. 물을 問 문
문 門 문 + 입 口 구
'문에 입을 대다' 를 그려
입이 문으로 가서 입의 역할 중 하나인 말을 하는 것으로
남의 집 문 앞에서
내 (누구누구) 가 왔는데
문 안에 누가 있느냐고 말을 하는 것을 그려
묻다를 나타냈다
*. 말이을 而 이
본래 코 밑 수염을 그린 자에서 시작되어 구렛나루를 의미하고
'너' 를 의미하기도 하며
접속사로도 쓰이고 있는데 접속사로 쓰인 것
아마도 얼굴에서 나온 것으로 정형이 없이 다듬기에 따라 모양이 변하기 때문인 것 같다
견딜 耐 내
(而)수염을 뽑는 (寸)형벌을 견디다
시초 耑 단
'(而)털의 (山)맨 상단 즉 제일 처음 피부를 뚫고 나온 털의 부분' 을 그려
'시초' 를 나타냈다
희롱할 耍 사
'(女)여인의 얼굴 위에 (而)수염을 갖다 대다' 를 그려
'희롱하다' 를 나타냈다
구렛나루 깍는 형벌 耏 내
(彡)두드러진 (而)털을 뽑는 형벌을 견디다
'삐친 석 彡 삼' → 삐치다 → 비치다 → 두드러지다
오그라들 䎡 난
(火)불 위에 털을 위치해 (而)털이 오그라들다
*. 살필 察 찰
집 宀 면 + 고기 육 변 月 + 또 又 우 + 보일 示 시
'또 又 우' 는 손을 나타내고
'보일 示 시' 는 제사상을 나타낸다
집에서 제사상에 고기 등을 손으로 올릴 때는
즉 제사상을 차릴 때는 꼼꼼히 살펴야 한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문자다
***. 통속적 - 가까울 邇 이
쉬엄쉬엄 갈 辶 착 + 너 - 가깝다 爾 이
*. 너 - 가깝다 爾 이
누에가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드는 모습
혹은 물레나 얼레 같은 실을 감는 기구를 그렸다는 설이 있다
낮다 丅 하 + 오히려 尚 상 의 생략형 + 밝다 㸚 례
로 파자해 볼 수 있겠으나
자원은 확실치 않다고 볼 수 있겠다.
邇言 이언 : 통속적인 말
*. 삼갈 隱 은언덕 부 변 阝+ 삼갈 㥯 은
‘삼갈 㥯 은’
손톱 爪 조 + 장인 工 공 + 손을 그린 또 彐 우 + 마음 心 심
‘장인 工 공’ 은 ‘하늘 ㅡ 과 땅 ㅡ 를 잇는 ㅣ’ 을 그린 자이다
‘손톱과 손 즉 양손으로 하늘과 땅을 잇는 마음’을 그려
삼가다를 그린 자이다
隱 은 ‘언덕 부 변 阝+ 삼갈 㥯 은’ 으로
‘언덕에 숨어 삼가다’ 를 그려
‘매우 삼가다’ 는 의미를 그린 자이다‘
*. 악할 (미워할) 惡 악 (오)
추할 亞 아 + 마음 心 심
‘추할 亞 아’ 는 ‘등이 굽은 모양을 그린 것' 으로
몸이 굽은 것과 마음이 굽은 것을 나타낸다
해서 ‘굽은 마음’ 을 그려
‘악하다/미워하다’ 를 나타냈다
*. 말이을 而 이
본래 코 밑 수염을 그린 자에서 시작되어 구렛나루를 의미하고
'너' 를 의미하기도 하며
접속사로 쓰이고 있는데 접속사로 쓰인 것은
아마도 얼굴에서 나온 것으로 정형이 없이 다듬기에 따라 모양이 변하기 때문인 것 같다
견딜 耐 내
(而)수염을 뽑는 (寸)형벌을 견디다
시초 耑 단
'(而)털의 (山)맨 상단 즉 제일 처음 피부를 뚫고 나온 털의 부분' 을 그려
'시초' 를 나타냈다
희롱할 耍 사
'(女)여인의 얼굴 위에 (而)수염을 갖다 대다' 를 그려
'희롱하다' 를 나타냈다
구렛나루 깍는 형벌 耏 내
(彡)두드러진 (而)털을 뽑는 형벌을 견디다
'삐친 석 彡 삼' → 삐치다 → 비치다 → 두드러지다
오그라들 䎡 난
(火)불 위에 털을 위치해 (而)털이 오그라들다
*. 오르다 - 날(리)다 - 나타나(내)다 - 칭찬하다 - 도끼 揚 양
손 수 변 扌 + 빛날 - 열다 - 양기 昜 양
陽 은 昜 의 古字 고자 로
언덕 阜 부 변 阝 + 양기 昜 양
양기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陽氣 손을 써 양기를 열다
를 그려
‘오르다 - 날(리)다 - 나타나(내)다 - 칭찬하다’를 나타냈다
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나타내다’ 에서 ‘널리 펼치다’ 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 착할 善 선
양 羊 양 + 말씀 言 언
양족의 말 즉 양족이 살아가는 방식을 말한 것으로
(양족이 당시 지배 계급이었음을 알 수 있다)
끝없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좋은 방법도 항상 변하기에
상황에 따라 선도 바뀌기 때문에
선의 양극단을 잡아 옳음을 백성들에게 베푸셨다
고 한 것이다
***. 잡을 執 집
小篆 소전의 모양을 보면
사람을 그린 土
짐승의 뿔 모양 羊 에서 一 하나가 빠진 것
알 丸 환과 비슷한 모양의 잡을 丮 극
으로 '사람이 짐승의 뿔을 잡다' 를 그려
‘잡다’ 를 나타냈다
*.두려워할 慹 집
‘사람이 짐승의 뿔을 잡는 마음’을 그려
‘두려워하다’를 나타냈다
*. 그 其 기
'키를 그린 (一 + ∐ + Х)' + 키를 얹는 대를 그린 '맞잡을 (一 밑에 八) 공'
이 키를 그려 → 기 → 그
로 변환되었다
*. 엽전의 단위 (열 돈) - 둘 - 짝 - 근 - 필 兩 량
저울추를 본뜬 글자
(무게를 측정하려는 물건과 저울추) 둘 - 짝 㒳 량 (兩 의 고자) + 저울대 모양 丅
**. 단정하다-똑같이 자르다 剬 단
'시초 耑 단' 은 '끝 - 단정하다 端 단' 의 古字 고자
'단정하다 耑 단' + 칼 도 방 刂
'칼 도 방 刂' 은 '가르다' 를 나타낸다
'단정하게 가르다' 를 그려
'단정하다-똑같이 자르다' 를 나타냈다
*. 단정하다 耑 단
뫼 山 산 + 수염을 그린 말이을 而 이
산의 표면 아래에 있는 수염
을 그려
산에 자라는 식물들의 뿌리
를 나타내 ‘시초’를 의미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시초에서 세상사의 한 끝을 나타낼 수 있었다
*. 쓸 用 용
바를-가운데 中 중 + 점 卜 복
혹은
손을 나타낸 ㅑ + 점치는 나무를 나타낸 卜 + 손을 나타낸 ㅕ
로 해석되는데
'점으로 바른 것을 찾아내다-점을 치다' 를 그린 것으로
옛날엔 같은 점이 반복해 나오면 그대로 임금의 결정으로 시행했으므로
둘 모두 뜻은 ‘행한다’ 의 의미와 ‘다스리다' 의 의미가 시작이다
*. 옳다-바르다 中 중
국명에 쓸 때는 옳다는 의미로 쓰여
예악의 기준이 되고 문명의 중심이 되는 나라란 뜻
*. - 에/ - 으로/- 보다/살다/가다/기대다/대신하다/있음 於 어
"까마귀가 날아가는 모양 또는 우는 소리를 나타낸 글자"
라고들 하는데
깃발 㫃 언 + (땅을 나타내는) 두 二 이
로 보면 땅 위에 깃발을 꽂음으로써 그 땅에서의 역사가 시작되었음을 그려
-- 에, --에서 등의 어조사로 쓰이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다
깃발 㫃 언 + 다음/나란히 하다/두 二 이
로 보면
'깃발과 나란히 하다' 를 그려
'- 에/ - 으로/- 보다/살다/가다/기대다/대신하다/있음' 을 나타냈다
*. 백성 民 민
성씨 氏 씨 + 둘러쌀-울타리 囗 위
울타리-국가 안에 모여 있는 여러 성씨들을 그려
백성을 나타냈다
같은 성을 가진 가족이 모여
씨족이 되고
여러 씨족이 모여 부족이 되고
더 많은 씨족이 모여
국가가 되고
그 국가의 울타리 안에 있는 이들을 아울러
백성이라 한다
*. 이 斯 사
그 其 기 + 도끼 斤 근
'도끼 斤 근' 은
'살피다-밝히다' 의 뜻이 있는데
'가까운 곳' 에 있는 것을 쪼개 살펴보고 알아봄을 의미한다
해서 '이 斯 사' 는
'그 其 기' : 그 곳보다
'도끼 斤 근' : 가까운 곳
을 그려 '이-그-저' 중에 '이' 를 나타냈다
*. 써 以 이
'사람 인 변 亻' 을 거꾸로 쓴 것 + 불똥 丶 주 + 사람 人 인
'사람 인 변 亻을 거꾸로 쓴 것' 은 태아를
'불똥 丶 주' 는 탯줄을
'사람 人 인' 은 임신부를 나타낸 것으로
임신 30주 경이 되면 태아가 머리를 어머니의 자궁쪽으로 향하게 하는데
이는 어머니의 머리 방향과는 반대이다
해서 '사람 인 변 亻' 을 거꾸로 쓴 것이고
이 때 '부터' 태아는 세상에 나올 준비를 하는 것임을 그려
'- 로써,' '-부터,' '생각하다' 등의 뜻으로 시작해
'(사람 모양과 거의) 비슷하다,' '(세상에 나올) 생각을 하다'
등의 뜻으로까지 확장되었다
*. 하 爲 위
손톱 爪 조 + 코끼리의 상형/그림
손으로 코끼리를 부리는 그림을 그려
'하다' 를 나타냈다
고 한다
또한 '爲' 는 자형이 '새 鳥 조' 와 비슷해
“암탉이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알을 품으면서
발로 알을 이리저리 굴려
모든 알들이 어미의 체온을 받도록 한다는 형상으로 보고
'하다' 로 이해하기도 한다
***. 어조사 乎 호
삐침 丿 별 + 어조사 兮 혜
‘삐침 丿 별’ 은 삐치다 → 비치다 → 두드러지다 를 나타낼 수 있다
*. 어조사 兮 혜
여덟 八 팔 + (‘공교할 巧 교’의 고자) 丂
‘여덟 八 팔’은 나뉘에 분산됨을
‘공교할 丂 교' 는 기운이 퍼져 오르려다가 어떤 장애를 받음을 나타낸다
해서
피어오르던 기운이 장애를 받아 분산되어 피어오른다는 데서
잠시 말을 멈추었다가 다시 어세를 높이는 어조사로 쓰였다
고 한다
해서 乎 는
잠시 말을 멈추었다가 두드러지게 다시 어세를 높이는 어조사로 쓰임을
그렸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소리를 길게 끌어 마음속의 생각을 다 나타냄을 뜻한다고도
설명되어 오고 있다
6장 전체의 내용이 어떤 근거로 쓰여진 지는 모르겠으나
‘순임금 - 무궁화 舜 순’외의 순임금의 이름들을 살펴보면
'큰 소리로 말하다 吳 오'
입 口 구 + 머리기울 夨 녈
금문에서 '입 口 구' 의 본래 모습은
'발' 을 그린 그림으로
'거꾸로 가는 사람' 을 그린 모습이 원래 모습이었다
순임금의 정책이 파격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거스르다 虞 우
범 虍 호 + 거꾸로 가다 吳 오
'범 虍 호' 는 어디서나 두드러지게 보이는 동물을 그린 문자로
'두드러지다' 의 뜻을 나타낸다
해서 '거스르다 虞 오' 는
'두드러지게 거꾸로 가다' 를 그린 자로
순임금의 정책이 두드러지게 파격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등지다 北 북
이는 두 사람이 서로 등지고 있는 것을 그린 문자로
이는 순임금이 당시까지 모계 사회이던 혼인 제도를
부계 사회로 전환을 시도해
모계 가족 제도하에 살던 가족 구성원들을 서로 등지게 한 사실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란 것을 볼 때
#17, #18, #19, #30 장에서 보여주듯이
주나라를 찬양하고 요임금을 성군의 으뜸으로 미화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동이계인 순임금을 미화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孔丘 공구 가 그랬는지 子思 자사 가 그랬는지
中庸 중용 이란 문자 자체가 의미하는 것은
情 정 에 휩쓸리지 말고 性 성 에 가까워져야 한다는 것인데
情 정 에 휩쓸려
동이계인 神農氏 신농씨 와 小昊金天氏族 소호금천씨족 의 정권을 무너뜨린
쿠데타의 주동자인 堯 요 를
중용의 도를 행한 성군으로 포장해 놓았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 자왈 회지위인야 택호중용 득일선즉권권복응이불실지의, 中庸 중용 (0) | 2019.01.04 |
|---|---|
| 7. 子曰 人皆曰予知 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而莫之知辟也 자왈 인개왈여지 구이납제고확함정지중이막지지피야, 中庸 중용 (0) | 2019.01.03 |
| 5. 子曰 道其不行矣夫 자왈 도기불행의부, 中庸 중용 (0) | 2018.12.31 |
| 4.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 知者過之 愚者不及也 자왈 도지불행야 아지지의 지자과지 우자불급야, 中庸 중용 (0) | 2018.12.29 |
| 3. 子曰 中庸 其至矣乎 民鮮能久矣 자 왈 중용 기지의호 민선능구의, 中庸 중용 (0) | 2018.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