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季執 계집

일반적인 여성을 부르는 호칭이었다고 하는데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

 

6천 여년 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우리 고문이 배우기 어려워

우리 민족이 가림토문을 만들어 쓰기 시작하며

쓰고 있는 말의 어원을 모르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겼다고 이해할 수도 있겠다

그 중 하나가 '계집' 인데

감히 추측해 본다면

'

季執' 을 '계집' 의 어원이었을 것으로 보겠다
'끝 季 계' 는주로 '어리다' 의 뜻으로 쓰이는데'벼 禾 화 + 아들 子 자' 로'벼의 아들 즉 씨앗 혹은 씨알' 로 '어리다' 를 그린 자로본래의 뜻은 '씨앗 혹은 씨알' 임을 알 수 있다
해서'끝 季 계 + 

잡을-지키다 執 집' 의 뜻은

'씨앗을 잡는 이 혹은 알을 지키는 이' 를 그려

태어날 때부터 난자를 갖고 태어나

성인이 되면 정자를 받아들이는

여성을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의 古字' 인

'끝 ()-계절 (春夏秋冬爲四季)

계' 를 보면

季 가 씨종자를 나타냈었음이 확인된다

 

155. ()-계절 (春夏秋冬爲四季) ( 古字)


꿩 稚 치 + 아들

꿩 + 아들 론 '끝' 을 나타낼 수 없다

+ + 아들

+ 날아다니는 + 아들 '끝' 을 나타낼 없다

날아다니는 '새' 는 '새롭다' 의 '새' 로

아들 씨종자로 전환해

다음 해의 농사를 짓기 위해 골라 보관하는 벼의 씨종자 그려

(계절의) 끝을 나타냈다

 

또한 '계집 女 녀' 자 역시

난자를 품고 있는 형상을 그린 자로 보기도 한다

물론 난자를 품고 씨앗을 받아들이는 형상으로도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