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苛斂誅求 가렴주구
가렴은 가혹한 세금징수를
주구는
원래 대국들이 소국의 재산을 빼앗아감을 이르던 것이
지방관리들이 백성의 재산을 함부로 빼앗는다는 뜻으로 쓰였으며
백성들이 살아가기 힘든 처지를 일컫는다
현대에 와선
가렴은 가혹한 세금징수를
주구는 부자들이 권력과 결탁하여 백성의 노동력을 초저임금으로 빼앗는다는 뜻으로
자본주의 단점을 잘 보여주는 4자성어라 볼 수 있겠다
*. 옳다 可 가
오른손잡이가 거의 대부분인 세상에서오른손잡이의 행동을 기준으로 보면
⺄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진행 + 입 口 구
⺄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진행을 말한다
오른쪽의 오른에서 옳다 로 전환시키고
옳은 것을 말한다 를 그려내 옳다 를 나타냈다
이 ‘옳다' 에서 ‘정도 - 가히' 등으로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혹은 ‘간곡하다 丁 정 + 말하다 口 구’ 로
‘간곡하게 말하는 것은 옳은 말이다’ 는 뜻으로
‘옳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 혹독하다 苛 가
내놓다를 뜻하는 초 두 머리 艹 를 정도를 나타내는 可 위에 써서
‘정도를 넘다’ 를 그려
‘혹독하다’ 를 나타냈다
401-1. 거두다 - 취하다 斂 렴
다 僉 첨 + 칠 攵 복
‘칠 攵 복’ 의 ‘치다' 를 우리 말 ‘치다' 의 수많은 의미 중
‘나뭇가지를 치다' 에서와 같이 ‘베어내다' 란 뜻으로 쓰면
‘다 베어내다' 를 그려
‘다 거두어 갔다 / 다 취하다' 를 나타낼 수 있다
907. 꾸짖다-벌주다 誅 주
말씀 言 언 + 붉을 朱 주
말 + 붉다 로는 꾸짖다-벌주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붉을 朱 주 는
나무 木 목 + ? (화살을 나타내는 부호)
목에 화살이 밖히면 목이 붉게 된다
는 뜻을 표현한 문자다
木을 신체의 일부로 전환시켜 표현했다
여기에 말씀 言 언 을 더해
'말로 목에 피가 나게 하다' 를 그려
여기서 '꾸짖다-벌주다-베다' 의 뜻을 나타냈다
*. 구할-찾을 求 구
'털가죽으로 만든 옷의 모양' 이라고 하는데
'물 水 수' 부수의 2획 혹은 3획으로 본다
'물 水 수 + 맥박-재다-마디 寸 촌' 의 변형으로 본다면
'물의 양을 재다' 를 그려
물은 불처럼 매우 중요했으며
물을 찾는 것 또한 대단히 중요했기 때문에
'찾다-구하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가렴주구의 무서움을 알려주는 고사
苛政猛於虎 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
춘추 시대 말엽, 공자(B.C 551~479)의 고국인 노(魯)나라에서는
조정의 실세(實勢)인 대부(大夫) 계손씨(季孫氏)의 가렴주구 로
백성들이 몹시 시달리고 있었다
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제자들과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
한 부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려 왔다
일행이 발길을 멈추고 살펴보니
길가의 풀숲에 무덤 셋이 보였고
부인은 그 앞에서 울고 있었다
자비심이 많은 공자는 제자인 자로(子路)에게 그 연유를 알아보라고 했다
자로가 부인에게 다가가서 물었더니
부인은 깜짝 놀라 고개를 들더니 이윽고 이렇게 대답했다.
“여기는 아주 무서운 곳이랍니다
수년 전에 저희 시아버님이 호환(虎患)을 당하시더니
작년에는 남편이
그리고 이번에는 자식까지 호랑이한테 잡아 먹혔답니다.”
“그러면, 왜 이곳을 떠나지 않으십니까?”
“하지만, 여기서 살면 세금을 혹독하게 징수 당하거나
못된 벼슬아치에게 재물을 빼앗기는 일은 없지요.”
자로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잘 들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는 것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處女總角 처녀총각 (0) | 2021.04.12 |
|---|---|
| 父母 부모 (0) | 2021.04.08 |
| 한국의 법조계가 성범죄에 관대한 이유 (0) | 2021.03.01 |
| 四勿 사물, 九思 九容 구사구용, 四箴 사잠 (0) | 2021.02.24 |
| 胎於 나다 태어나다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