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沐浴齋戒 목욕재계

沐浴齋戒 목욕재계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하고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경계함

목욕은 정갈히 하다를

재계는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경계함을 나타낸다

 

467. 머리를 감다 沐 목

물 수 변 + 나무 木 목

물 + 나무 로는 머리감다 나 목욕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무 木 목 의 목을 신체의 일부인 목 으로 전환해

목에 물을 붓다 를 그려

머리감다 를 나타냈다

 

*. 몸을 씻다 浴 욕

산 속 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뜬 골 谷 곡

물 수 변 氵 + 골 谷 곡

물이 머리로부터 발까지 흘러내리는 것을 그려

‘몸을 씻다’를 나타냈다

 

*. 재계하다 - 집 齋 재

가지런할 齊 제 + 제사상을 나타내는 보일 示 시

‘가지런할 齊 제’는

곡식의 이삭이 패어 끝이 가지런한 모양을 본뜬 글자라고 한다

이 해석에 맞추어 풀어보면

돼지 해 머리 亠 두  + 칼날 刀 도 + 두 갈래지다-가닥-가랑머리丫 아 + ‘성 氏 씨’ 의 변형 +‘평평할 幵 견’ 의 변형

으로

‘돼지해머리 亠 두’ 는 벼의 높이가 비슷한 것을 그렸고

‘칼날 刀 도’ 와 ‘성 氏 씨’ 의 변형 은 각각 ‘날’ 과 ‘씨알’ 로

‘날알’ 을 그렸고

‘두 갈래지다-가닥-가랑머리丫 아’ 는

벼의 줄기를 그린 것이며

‘평평할 幵 견’ 의 변형은 논의 평평한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가지런할 齊 제’와 ‘제사상을 나타내는 보일 示 시’로

재계하다를 나타냈다

 

*. 경계할 戒 계

들 卄 공 + 창 戈 과

'(예상할 수 없는 적에 대비하여) 창을 들고 있는 모습' 을 그려

'경계하다' 를 나타냈다

 

467. 머리를 감다 沐 목

물 수 변 + 나무 木 목

물 + 나무 로는 머리감다 나 목욕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무 木 목 의 목을 신체의 일부인 목 으로 전환해

목에 물을 붓다 를 그려

머리감다 를 나타냈다

 

*. 몸을 씻다 浴 욕

산 속 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뜬 골 谷 곡

물 수 변 氵 + 골 谷 곡

물이 머리로부터 발까지 흘러내리는 것을 그려

‘몸을 씻다’를 나타냈다

 

*. 대야 - 얼굴/손을 씻다 盥 관 (泴의 와자)

대야 泴 관 + 절구 臼 구

(臼 가 양손을 의미한다고도 하지만

그릇에 구멍이 두드러지단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발을 씻다 - 씻다 - 세수 그릇 洗 세

물 수 변 氵 + 먼저 - 뛰어넘다 先 선

先 의 소전체는 발을 뜻하는 그칠 止 지 + 어진 사람 인 발 儿 로

발을 씻다를 나타낼 수 있었다

 

*. 옷을 빨다 浣 완

물 수 변 氵 + 완전할 - 갖추다 - 만족해하는 모양 完 완

完 의 소전체는 두 사람을 머리부터 발끝까지 덮은 모양으로

사람을 덮고 있는 것을 옷으로 하여

‘물 + 옷’즉 ‘옷에 물을 대다’를 그려

옷을 빨다를 나타낼 수 있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의 어원  (2) 2021.05.29
死亡 사망 - 他界 타계 - 別世 별세 - 永眠 영면 등  (0) 2021.05.01
미안하다와 죄송합니다  (0) 2021.04.21
各自圖生 각자도생  (0) 2021.04.16
處女總角 처녀총각  (0) 202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