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향노루 麝 사
사슴 鹿 록 + 쏠 射 사
'사슴 + 쏘다' 로는 '사향노루' 를 나타낼 수 없다
사향의 아주 고약한 냄새를 '톡 쏘는 냄새' 라 표현해
'냄새가 쏘는 (쏘는 냄새를 가진) 사슴' 을 그려
'사향노루' 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원리로 만든 글자로 '사례하다 謝 사' 가 있다
633. 사례하다 謝 사
말씀 言 언 + 쏠 射 사
'말씀 + 쏘다' 로는 사례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오늘 저녁은 내가 쏘겠다’ 에서와 같이
우리말 '쏘다' 는 ‘답례로써 내겠다’ 는 뜻을 갖고 있다
해서 ‘답례로써 내겠다’ 는 말 을 그려
'사례하다' 를 나타냈다
지금 한자라 불리는 문자를
華夏族 화하족 이 만들었을까?
支那人 지나인 들이 만들었을까?
夏族 하족 이 만들었을까? 아니면
下族 하족 이 만들었을까?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이 (0) | 2022.08.30 |
---|---|
착하다, 착하게 살면서도 올바르게 사는 것 (0) | 2022.08.29 |
'요임금 堯 요' 와 '하우씨 禹 우' (0) | 2022.08.12 |
입덕부정기 (0) | 2022.08.10 |
性理學 성리학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