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둥글다 員 원' 이 포함된 글자들 *. 둥글다 員 원입 口 구 + 조개 貝 패‘조개의 입’ 을 그려 ‘둥글다’ 를 나타냈다.인원 - 관원 員 원가족 - 구성원 口 구 + 조개의 두 입처럼 결속이 단단함을 그린 ‘조개 貝 패’‘결속력이 있는 구성원’ 을 그려 ‘인원’ 을 나타냈다.가족 - 구성원 口 구 + 조개처럼 단단함을 그린 ‘조개 貝 패’‘단단한 구성원’ 에서 ‘엄한 구성원’ 으로 의미를 확장해 ‘관원’ 을 나타냈다.*. 더하다 - 늘이다 員 운입 口 구 + 맞닿아 있는 두 껍데기로 입을 구성하는 ‘조개 貝 패’‘입 + 입’ 을 그려 ‘더하다 - 늘이다’ 를 나타냈다. *. 둥글다 圓 원에울다 口 위 + 둥글다 員 원 (입 口 구 + 조개 貝 패)‘둥글게 둘러싸다.’ 혹은 ‘조개 입을 둘러싸다.’ 를 그려 ‘둥글다’ 를 나타냈다. *.. 더보기
'追念 추념' 과 '記念 기념' '追念 추념' 과 '記念 기념'*. 따르다 - 좇다 追 추쉬엄쉬엄 갈 착 변 辶 + ‘쌓일 𠂤 퇴’‘쌓일 퇴’ 를 계속하다의 의미로 보면追 는 ‘계속 가다’ 를 그려'따르다 - 쫓다' 를 나타낸 것으로 억측해 볼 수 있겠다.또한 계속 쫒다보면 따라잡아 하나가 될 것이기도 하다.'언덕 阜 부' 의 소전의 모양은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 셋 있는데, '쌓일 𠂤 퇴' 는 직사각형 모양이 둘이 있어 작은 언덕으로도 본다. 해서, 작은 언덕 𠂤 에 辶 가다' 즉 '무덤에 가다.' 란 뜻이 있어'追念 추념' 이라고 하면, 애도, 추모, 슬픔, 희생, 비극적 사건의 기억이란 의미가 생겼다. *. 기록할 記 기말씀 言 언 + 다스리다 - 몸 己 기‘말씀을 다스리다.’ 를 그려 혹은 ‘말을 몸에 붙이다.’ 를 그려.. 더보기
고양이 猫 묘 고양이 猫 묘개사슴 변 犭 + 싹 苗 묘犭: 이 부분은 '개 견(犬)' 변형으로, 네 발 달린 짐승을 나타낸다.苗 : '나오다 혹은 내놓다 그리고 두드러지다 혹은 특이하다' 를 나타낼 수 있는 풀 초 머리 艹 + 밭 田 전 여기서 田 은 눈을 그린 口 와 눈동자가 세로로 수축하는 고양이의 특징을 그린 + 로 볼 수 있겠다. 고양이의 눈은 밝은 곳에서는 신기하게도 세로로 얇은 실금('ㅣ' 모양)처럼 수축한다.마치 어둠 속에서 목표를 꿰뚫어 보는 것처럼.그런데 그 눈이 완전히 닫히기 전, 빛이 줄어드는 중간 과정에서는 마치 세로선과 가로선이 살짝 교차하며 모이는 듯한 '+' 모양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바로 이 'ㅣ' 모양과 그 중간 과정의 '+' 모양처럼 빛을 조절하는 고양이의 예리한 눈.. 더보기
‘갑옷 甲 갑’ 이 들어 있는 글자들 甲 갑골문 글자 본래의 뜻은 고대 병사들이 전투 중 몸을 보호하기 위해 들고 있던 단단한 방패를 뜻하며,손잡이가 있어 창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단단한 판으로 한 손에는 방패를 들고 방어하고,다른 한 손에는 창이나 ‘戟 극' 과 같은 무기를 들고 공격했고,명사로 쓰였다.예서 를 보고 '거북의 등 모양을 본뜬 글자' 라고도 하고소전 소전을 보고'초목의 싹이 씨의 껍질을 인 채 땅 밖으로 돋아나온 모양을 본뜬 글자' 라고도 한다.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천간 혹은 십간의 맨 처음-머리이기 때문에계약 당사자 중 우위에 있는 쪽을 ‘갑' 이라 하기도 한다. *. 궤 - 상자 匣 갑‘감추다 匸 혜’ 혹은 ‘상자 匚 방’ + 갑.. 더보기
改革 개혁 *. 고치다 - 짓다 - 바꾸다 - 새로 - 다시 - 새삼스럽게 改 개자기 - 몸 己 기 + 칠 攵 복‘자기를 치다'우리말 ‘치다' 에서 ‘다그치다 - 고치다' 로‘자기를 다그치다 - 고치다' 를 그려‘고치다' 를 나타냈다. *. 가축-고치다 革 혁고문에서는 두 사람이 짐승의 털을 뽑는 모양을 본뜬 자라고 한다털을 뽑으면 가죽이 드러나고겉 모양이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에바꾸다-고치다란 뜻도 가지게 된 字 자다.革命 혁명이라 할 때고치다 - 바꾸다는 뜻을 가진 字 자 중에'가축-고치다 革 혁' 을 쓰는 것은'革' 의 원래 뜻이 털을 뽑아내다로전 정권의 권력자들의 권력과 재산을 모두 몰수하는 것은 물론목숨까지도 몰수하는 것과도뜻이 통하기 때문이 아닐까도 추정해 볼 수 있겠다. ‘改革 개혁’ 의 사전적인 의미는.. 더보기
'부끄러울 耻 치' 와 ‘부끄러울 恥 치’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을 부끄러움이라고 했으니,'부끄러울 耻 치' 는'귀 + 멈추다' ⟶ '듣는 것을 멈추다' ⟶ '남의 말을 듣는 것을 멈추다' ⟶ '부끄러움을 모르게 되었다.' ⟶ '부끄럽다' 를 나타냈다. ‘부끄러울 恥 치’ 는 ‘귀 耳 이 + 마음 心 심’ 으로 ‘듣는 마음’ 을 그려 ‘남의 말 즉 충고나 꾸지람 등을 들어야함’ ⟶ '부끄러움' 을 나타냈다. 부끄러운 마음을 가질 때 귀가 빨개지듯이 부끄러운 마음이 귀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글자로도 볼 수 있겠다.人不可以無恥 無恥之恥 無恥矣 인불가이무치 무치지치 무치의- 孟子 盡心章句上 맹자 진심장구상 - 아래의 두 가지로 해석되어 왔다.'사람은 부끄러움이 없어서는 안 되는데, 부끄러움을 모르는 그런 부끄러움이야말로 정말 부끄러움을 모르는 .. 더보기
'無識 무식' 과 '無知 무지' 의 차이 '無識 무식'은 사전적 의미는 "배우지 않은 데다가 보거나 듣지 못해서 아는 것이 없다." 이고, '無知 무지' 는 사전에 찾아보면, "① 아는 것이 없다. ② 미련하고 우악스럽다. " 라는 뜻이라고 한다. '無識 무식' 과 '無知 무지' 란 글자가 의미하는 바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다. *. 없을 無 무'양손에 장식을 들고 춤추는 모양을 본뜬 글자' 로춤에 빠진 무희들이 정신이 없음을 나타냈다고도 하고'큰 大 대' 의 변형 + (수풀이 우거진 모양) + 불 화 발 灬 로 해석하기도 하나소전체에 구애받지 말고'화살 모양 𠂉 + 풀 초 머리 艹 + 풀 초 머리 艹 + 일정한 구역을 나타내는 ㅡ + 불 화 발 灬''풀 초 머리 艹 + 풀 초 머리 艹 + 일정한 구역을 나타내는 ㅡ' 은 '숲' 이 되고'화.. 더보기
風飛雹散 풍비박산 風飛雹散 풍비박산옥편에는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이라고 되어 있다. 문자가 나타내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람 風 풍소전에 따라'무릇 凡 범 + 벌레 虫 훼' 으로 보기도 하나'(바람의 궤적을 나타낸) 사물의 왕성한 모양 几 궤 + 벌레 虫 훼'으로 보아도 좋을 듯하다'벌레가 바람의 궤적 안에서 이동함'을 그려'바람' 을 나타냈다. *. 날다 - 높다 - 누각 같은 것이 높이 솟아 있는 모양 - 새 - 날짐승 飛 비새가 두 날개를 펴고 하늘을 높이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금문 대전 소전 *. 우박 雹 박비 雨 우 + 쌀 包 포'비를 싸고 있는 것' 을 그려 '우박' 을 나타냈다. *. 한가롭다 - 흩어 버린다 - 헤어지다 - 풀어놓다 - 내치다 - 도망가다 - 쓸모없다 散 산현재의 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