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取之而燕民悅 則取之 古之人有行之者 武王是也。취지이연민열 즉취지 고지인유행지자 무왕시야 取之而燕民悅 則取之 古之人有行之者 武王是也。 취지이연민열 즉취지 고지인유행지자 무왕시야 (맹자가 대답하여 말하길) 연나라를 제나라로 편입했을 때, 연나라 백성들이 기뻐하면 즉시 취해야 합니다. 옛날에 그렇게 하신 분이 계신데 바로 (주나라) 무왕 이십니다.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의 모든 제후들과 같이 전쟁을 통한 영토확장을 꾀하는 제나라 선왕에게 맹자가 백성들의 생활을 어렵게 하는 침략전쟁은 하늘의 뜻에 어긋나지만 학정에 시달리는 이웃 국가들의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한 전쟁은 운명이라고 한 수 알려주는 내용이다. 孟子 맹자 (BC372? - BC289)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 ‘鄒 추' 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軻 가' 다. 공자의 사상을 이은 ‘儒學者 유학자’ 로 ‘仁義 인의' 를 중시하는 ‘.. 더보기 殘賊之人謂之一夫 聞誅一夫紂矣未聞弑君也 잔적지인 위지일부 문주일부주의 미문살군야 殘賊之人謂之一夫 聞誅一夫紂矣未聞弑君也 잔적지인 위지일부 문주일부주의 미문살군야 잔인하고 포악한 사람을 일러 그저 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잔인하고 포악한 그저 한 사람인 ‘주’ 를 주살했다는 말은 들어보았지만, 임금을 죽였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읍니다. 제선왕은 신하가 왕을 베고 혁명을 일으키는 것을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고 제나라 선왕이 물어 말하길 상나라 탕왕이 하나라 걸왕을 내쫓고 주나라 무왕은 상나라 주왕을 베었다는 것을 맹자에게 어떻게 생각하느냐 물었는데 맹자는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멀리 하고 폭정을 일삼는 왕은 이미 왕이 아닌 그저 한 사람이니 혁명으로 몰아내도 된다고 대답하며 제선왕에게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하라고 직언하는 내용이며 맹자의 정치사상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孟子 맹.. 더보기 國人皆曰賢 然后察之 見賢焉 然后用之국인개왈현 연후찰지 견현언 연후용지 國人皆曰賢 然后察之 見賢焉 然后用之 국인개왈현 연후찰지 견현언 연후용지 (좌우의 신하들이 모두 현자라고 해도 아직 등용해서는 안 됩니다. 여러 대부가 모두 현자라고 해도 아직 등용해서는 안 됩니다.) 백성들이 모두 현자라고 한 후에야 살펴보아야 합니다. (살펴서) 현자임을 보고 난 후에야 등용해야 합니다. 이는 제나라 선왕이 인재를 등용함에 능력을 기준으로 하지 않음을 맹자가 지적하는 내용이다. 또한, 능력있는 인재는 발탁하지 않거나 발탁했더라도 내쫓고, 능력없는 자를 발탁하거나 내치지도 않는다면, 그 나라의 앞날은 결코 희망이 없기에 인재등용의 중요성을 지적한 내용이기도 하다. 孟子 맹자 (BC372? - BC289)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 ‘鄒 추' 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軻 가' 다. 공자의.. 더보기 樂民之樂者 民亦樂其樂 憂民之憂者 民亦憂其憂락민지락자 민역락기락 우민지우자 민역우기우 樂民之樂者 民亦樂其樂 憂民之憂者 民亦憂其憂 락민지락자 민역락기락 우민지우자 민역우기우 백성의 즐거움을 즐거워하는 사람은 백성 또한 그의 즐거움을 즐거워하며, 백성의 근심을 근심하는 사람은 백성 또한 그의 근심을 근심합니다. 樂以天下 憂以天下 然而不王者 未之有也 낙이천하 우이천하 연이불왕자 미지유야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고, 백성과 함께 근심하니, 그렇게 하고도 왕 노릇을 하지 못한 사람은 없읍니다. 맹자가 제나라 선왕을 만나 왕이 성밖으로 나가는 이유는 백성들의 삶을 살피는가와 제후들이 백성들의 삶을 제대로 살피는지를 살피는 것인데, 제선왕이 성밖으로 나가는 것을 놀러 나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단군조선 시대 제나라 경공과 재상이었던 안영의의 고사를 인용해 지적하는 내용이다. 孟子 맹자 (BC372? .. 더보기 惟仁者爲能以大事小 是故湯事葛유인자위능이대사소 시고탕사갈 惟仁者爲能以大事小 是故湯事葛 유인자위능이대사소 시고탕사갈 오직 세상을 위하는 왕만이 큰 나라를 가지고도 작은 나라를 도와주며 바르게 이끌 수 있으니, (상나라) 탕왕이 갈나라를 도와주며 바르게 이끌었고, (주나라) 문왕은 곤이를 도와주며 바르게 이끌었읍니다. 此匹夫之勇 敵一人者也 차필부지용 적일인자야 이것은 필부의 용맹으로 한 사람만을 대적하는 용맹입니다. (왕이시여 청컨대 큰 용맹을 탐하십시오.) 현실에선 ‘小勇 소용’ 은 전쟁을 말하며, ‘大勇 대용’ 은 자주국방과 선린외교로 전쟁은 불가피할 때만 하는 것' 이라 할 수 있겠다. 전쟁으로 영토를 넓혀보려는 제나라 선왕에게 맹자가 백성들을 위해서 전쟁은 꼭 필요할 때만 하는 것임을 지적하는 내용이다. '섬기다' 의 사전적 의미는 웃사람을 모시어 받들다... 더보기 今王與百姓同樂 則王矣금왕여백성동락 즉왕의 今王與百姓同樂 則王矣 금왕여백성동락 즉왕의 지금 왕께서 백성들과 함께 즐기시기 때문에 왕일 수 있읍니다. 여기서 왕은 위나라의 양혜왕인지, 제나라 위왕인지, 제나라 선왕인지 논쟁이 있다. 위의 문장은 ‘양혜왕장 하 첫 장' 의 내용을 보면 백성들이 가족이 함께 살 수도 없을 정도로 먹고살기가 너무 어려운 때는 왕이 하는 모든 것이 짜증스러울 수 밖에 없고 백성들이 먹고사는 걱정이 없도록 하고 나서야 음악을 즐기든 사냥을 즐기든 해야 왕이 하는 모든 일이 칭송할 만한 것이란 말을 하고 있다. 또한 백성들이 가족이 함께 살 수도 없을 정도로 먹고살기가 너무 어려운 때는 백성들이 봉기를 일으킬테니 왕이 살아남을 수 있겠냐는 것이다. 孟子 맹자 (BC372? - BC289)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 ‘鄒 추.. 더보기 인공지능은 지나의 역사서를 얼마나 신뢰할까? "서경을 모두 믿을 것이라면 서경이 없는 것만 못하다" 고 공자가 말했듯이, 사기도 춘추좌씨전도 모두 믿을 수 없는 기록임은 확실하네, 그렇지 않은가? 인공지능 bard 의 답 네, 공자의 말씀대로, 사기도 춘추좌씨전도 모두 믿을 수 없는 기록임은 분명합니다. 사기는 기원전 2세기경에 편찬된 중국의 역사서입니다. 사기는 주나라부터 한나라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춘추좌씨전은 기원전 4세기경에 편찬된 지나의 역사서입니다. 춘추좌씨전은 주나라의 춘추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두 역사서는 모두 후대에 편찬된 책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역사서는 편찬자의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기와 춘추좌씨전의 기록을 그대로 믿는 .. 더보기 緣木求魚 연목구어 以若所為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 이약소위구약소욕 유연목이구어야 행하는 바로 원하는 바를 구하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읍니다. (그러한 방법 (전쟁을 일으켜 (자국과 이웃나라의) 병사들과 중신들을 위태롭게 하고 이웃 나라 제후들의 원한을 사는 것) 이 행하는 바. (땅을 넓혀 진나라와 초나라의 (조회에 참여하게 하고) 조공을 받으며 나라의 가운데 군림하여 ‘四夷 사이’ 를 제압하는 것) 이 원하는 바. 今王發政施仁 금왕발정시인 지금 왕께서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하시면 벼슬을 원하는 사람들은 모두 왕의 조정에서 일하기를 원하도록 하고 밭가는 사람들은 다 왕의 밭에서 밭을 갈기를 원하도록 하며 장사하는 사람들은 모두 왕의 시장에서 장사하기를 원하도록 하고 나그네들은 모두 왕의 영지로 ..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25 다음